랩뷰에서 아두이노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LINX를 이용할 수 있다.
준비물
1. 랩뷰 2018버전이상 32비트
2. LINX설치
3. 아두이노
랩뷰 2018버전이상 32비트를 설치한 후(LINX가 32비트에서만 동작한다) LINX를 다운로드해서 설치한다.
LabVIEW Hobbyist Toolkit Download
Access download and support information for LabVIEW Hobbyist Toolkit Full
www.ni.com
새로운 VI를 만든 후 블록다이어그램에서 hobbyist 메뉴를 보면 아두이노와 연결하고 센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아두이노를 연결한 후 블록다이어그램 tools 메뉴에서 hobbyist 에 들어간 후 firmware wizard를 켜준다. 그런다음 자신이 사용하는 아두이노를 선택한 후 펌웨어를 업로드해준다. ( 근데, 아두이노 우노에서는 설치가 됐지만 메가에서는 작동하지 않았다)
블록다이어그램에서 다음과 같이 간단한 코드를 작성해준다.
오픈 - 디지털 write - 클로즈


13번에 연결된 digital write 불리언을 누를때마다 LED가 점등한다.
https://www.labviewmakerhub.com/doku.php?id=learn:tutorials:libraries:linx:getting_started
Getting Started with LINX [LabVIEW MakerHub]
Getting Started with LINX In this tutorial we'll install LINX, setup a new LINX device and run our first example. Prerequisites Hardware Software Procedure Install LINX Load Firmware Launch LabVIEW. Click Tools»MakerHub»LINX»Firmware Wizard… Select yo
www.labviewmakerhub.com
'만들기 > 랩뷰(lab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umeration conflict 열거형이 충돌합니다. (0) | 2022.09.15 |
---|---|
[matlab] 아두이노 여러개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3D 그래프로 나타내기 (0) | 2022.07.06 |
[랩뷰] LINX에서 L298N 드라이버로 DC모터 제어하기 (0) | 2022.01.22 |
LINX와 아두이노 메가는 잘 연결되지 않는다. (0) | 2022.01.21 |
[랩뷰] LINX 로 랩뷰에서 아두이노 연결하여 servo 모터제어하기(sg90) (0) | 2022.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