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경제]돈을 벌기 위해 알아보는 돈의 역사

by 훨훨날아 2019. 9. 17.

돈은 삶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자본주의사회로 표현되는 지금시대에는 더욱더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누구나 돈을 많이 벌고 싶어한다.

아마 이 책을 읽으면 돈에 대해서 좀 더 알고 잘 벌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많은 사람들이 책을 봤을 것 이다.

50대 사건으로 보는 돈의 역사

1부. 전쟁에 이기기 위해서는 더 많은 돈이 필요하다!

1장. 트라팔가 해전에서 영국은 어떻게 승리했는가?

2장. 네덜란드에서 세계 최초의 주식회사가 출범한 이유는?

3장. 군대는 강하지만, 경제는 허약했던 스페인

4장. 16세기의 물가 혁명, 어떤 변화를 가져왔나?

5장. 메디치 가문부터 암스테르담 은행까지

6장. 메리 포핀스와 뱅크런 이야기

7장. 스코틀랜드의 사기꾼 존 로와 프랑스의 몰락

1부로부터 얻은 교훈. 금리가 높은 나라는 투자처로 적합하지 않을 때가 많다

영국의 금융시스템의 발전을 보고 신뢰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나라에 대한 신뢰는 경제적 안정성을 가지고 금리가 낮아지고 자금이 점점 더 들어오고 경제로 다시 투자되고 좋은 순환고리를 가질 수 있었다.

2부. 대항해시대로 열린 ‘글로벌 경제’

1장. 명나라 때 왜구가 창궐했던 까닭은?

2장. 아메리카 대륙의 은, 중국으로 유입되다

3장. 삼국지 이후의 시대는 왜 아무도 관심이 없을까?

4장. 명나라 때까지는 서양보다 잘살았다!

5장. 조세개혁으로 부강해졌는데, 명나라는 왜 망했을까?

6장. 청나라 때 인구 4억을 돌파한 이유는?

2부로부터 얻은 교훈. 화폐공급이 줄 때 경기가 나빠진다!

옛날에는 정보가 매우 귀중한 시대였다. 하지만, 지금도 내가 모르는 어딘가에선 정보의 불균형을 이용해서 이득을 취하는 사람이 있겠지?

3부. 맬서스와 이해할 수 없는 신세계

1장. 왜 청나라에서 산업혁명이 발생하지 않았을까?

2장. 산업혁명 vs. 근면혁명

3장. 영국은 어떻게 ‘인구폭발’을 피할 수 있었나?

4장. 마약왕 영국!

5장. 미국 남부는 왜 그렇게 노예제도 폐지에 강력 저항했을까?

3부로부터 얻은 교훈. 생산성의 증가가 빠른 혁신 국가에 투자하라!

영국의 인건비가 높아서 인건비를 대신할 수 있는 기계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했지만 중국과 일본은 인건비가 저렴하기 때문에 기계 개발보다는 노동력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쪽으로 발전했다.

문득, 우리나라도 사람이 점점 줄어든다고 생각하면 뭔가 이 방법을 타개해나갈 산업이 발전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보았다.

우리나라도 많은 산업분야에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미래에도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 같다.

4부. 대공황, 아 대공황!

1장. 제1차 세계대전은 왜 뜻밖의 사건이었나?

2장. 독일에서 하이퍼 인플레가 발생한 이유는?

3장. 1929년 미 증시 대폭락의 원인은? 레버리지 투자!

4장. 뉴욕 연방준비은행은 왜 금리를 공격적으로 인상했나?

5장. 대공황은 왜 그렇게 길게 이어졌나?

6장. 은행의 위기가 대공황으로 이어지다!

7장. 디플레이션이 왜 무서운가?

8장. 독일은 어떻게 승승장구할 수 있었을까?

4부로부터 얻은 교훈. 불황이 시작될 때에는 단호하게 행동하라!

불황이 시작될 대에는 단호하게 나라가 금리를 올리거나 내려야 할텐데 그럼 분명 누군가는 손해보는 사람이 생길 것이다. 내가 그쪽에 서있지 않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균형잡힌 자산관리가 필요할 것 같다.

5부. 금본위제가 무너진 이후의 세상

1장. 미국이 세계의 경찰을 자처한 이유는?

2장. 닉슨은 왜 금본위제를 폐지했을까?

3장. 볼커, 인플레를 잡다!

4장. 1986년의 유가 급락, 어떻게 발생했나?

5장. 왜 상품시장은 20년 주기로 움직일까?

5부로부터 얻은 교훈. 중앙은행에 맞서지 마라!

석유파동, 금융위기 ...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경제위기에는 무엇이 있을까? 환경문제??

6부. 일본 경제는 어떻게 무너졌나?

1장. 플라자 합의는 어떻게 벌어졌나?

2장. 미국 블랙 먼데이, 일본 자산가격의 버블을 촉발하다!

3장. 일본 주식시장, 얼마나 비쌌나?

4장. 일본 부동산시장은 갈라파고스?

5장. 자산가격 버블이 붕괴될 때 불황이 출현하는 이유는?

6장. 자산가격 하락이 장기불황으로 이어진 이유는?

7장. 일본 중앙은행은 왜 금리인하를 미뤘나?

6부로부터 얻은 교훈. 버블이 붕괴될 때에는 과하다 싶을 정도로 돈을 풀어야 한다!

돈이 자유롭게 돌아다녀야 나라가 발전할 수 있는 것 같다. 세계적으로 집값이 오르는 추세에서 일본은 버블때문에 내려갔다면 우리나라는 어떤 추세를 따라갈 가능성이 높을까? 우리나라도 집에 투자를 많이 하는 성향이고 대출이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서 다를 것 같다. 위기의 순간에서 항상 무리해서 돈빌린 사람들이 망하면 착하게 돈모은 사람들도 따라서 망하니까 문제가 되는 것 같다.

기본적인 삶의 조건 의식주가 보장되면 국가적인 발전이 될까?

7부. 1997년 우리나라는 왜?

1장. 지난 50년 동안 우리나라는 어떤 성취를 기록했나?

2장. 토지개혁, 번영의 초석을 놓다!

3장. 우리나라는 어떻게 수출 제조업을 육성했을까?

4장. 미국에서 만드는 것보다 우리나라에서 생산하는 게 더 싸다고?

5장. 우리나라는 어떻게 외환위기의 수렁에 빠졌나?

6장. 외환위기 이후, 어떤 변화가 나타났나?

7장.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가 나타난 이유는?

7부로부터 얻은 교훈. 건전 재정에 대한 집착을 버려라!

GDP = 투자 + 소비 + 수출 - 수입

GDP - 소비 = 투자 + 수출 - 수입

GDP - 소비 = 저축

수출 - 수입 = 경상수지

저축 = 투자 +경상수지

저축 - 투자 = 경상수지

우리나라가 매년 경상수지를 흑자를 달성한다는 뜻은 투자보다 저축을 많이 한다는 뜻이된다고 한다.

더 생각해보면 GDP가 커졌거나 소비가 줄었거나인데 GDP가 결과값인 것을 생각하면 경상수지가 흑자라는 뜻은 수출이 늘었거나 소비가 줄었거나 투자가 줄었거나이다.

올바른 투자가 활성화되서 기업들의 경쟁력이 커지면 좋겠지만 확실한 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를 하려고 하기 때문에 투자가 주춤한 것은 아닐까?

반응형